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암호화폐 블록체인 노드란?

by ShinMiBong 2021. 7. 18.
반응형

가상화폐/암호화폐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연결돼 있냐는 거에요.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등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기기라면 가상화폐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를 만들 수 있다는 거에요.
모든 데이터의 검증과 전송이 가능한 풀노드, 

일부 데이터만으로 거래에 참여하는 라이트노드로 나뉘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는 거에요.


암호 앞에 세상에는 세 가지 종류의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거에요.
첫째는 컴퓨터로 암호를 해독해 서 그 대가로 코인을 얻는 채굴자가 있고

둘째는 채굴된 코인을 돈과 거래 하려는 소비자가 있고

셋째는 여기서 이루어지는 거래가 안전한지 검토하고 승인하는 역할에 참여자가 있다는 거에요.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해선 이 참여자들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는 거에요.
그들이 사용하는 기계를 "노드" 라고 한다는 거에요.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참여자 의 연결이 아니라 노드의 연결이라는 거에요.
노드는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면 자신이 가진 데이터를 비교 자료로 사용해서
거래가 안전한 거래 인지 검토하고 승인하는 역할을 한다는 거에요.
노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 등 데이터를 다운 받을 수 있는 기계면 모든 가능한데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클로드 또는 라이트 모드로 나누어진다는 거에요.


블록 체인의 가장 첫 번째 블록 부터 시작해 가장 마지막 블로 까지의
모든 데이터를 다운 받아 저장한 기계를 클로드 라고 하는데
채굴자의 경우 최고를 위해서 모든 데이터가 필요하니까 플러드 라도 할 수 있겠다는 거에요.
사용자가 플러드가 되면 본인의 거래를 스스로 검증할 수 있다는 것과 믿을
만한 자료를 가지고 있다는 장점에 있다는 거에요.


그러나 방대한 양의 데이터 때문에 넓은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는 거에요.
라이트 노드의 경우 데이터의 일부분 만을 가지고 있어서 거래는 가능하지만
거래에 대한 자료 검증은 불가능하다는 거에요.
만일 자료 검증이 필요하면 클로드 에게 정보를 요청할 수 있지만

그 정보를 받기 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것과 내가 받은 이 정보가 과연 옳은
것인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는 거에요.
대신 적은양의 데이터만 보유하게 되니까 저장공간에 대한 부담은 덜 하겠죠
어떻게 하면 이렇게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가 될까요
노드가 되려면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되는데
암호화폐 시장의 경우 자료의 일부를 다운 받거나 지갑을 생성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는 거에요.
그럼 바로 노드가 되는 거에요.
블록 체인이 보안에 강한 이유는 전 세계로 퍼져 있는 노드를 동시에 해킹 해야 하기 때문인데
중앙에서 관리하는 시스템 과는 달리 모두가 관리자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해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거에요.
이상으로 블록 체인 네트워크 관리 이루는 노드의 역할에 대해 알아봤다는 거에요.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