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출시국인 중국에선 2017년 11월에 중국에서 텐센트와 펍지 주식회사가 협력해서 모바일 게임을
개발한다는 발표가 나왔다.관련 기사 개발은 텐센트 산하의 두 스튜디오에서 담당하며 개발사는
라이트스피드 & 퀀텀 스튜디오인데 이전의 개발경력은 알려지지 않는 것을 보아 최근 신설한 팀으로
추정된다. 이후 개발자 코멘터리 영상을 공개함으로써 게임의 대략적인 특징을 설명하였다.
이후 2018년 2월 9일에 두가지 게임이 출시되었는데 먼저 중국 게임마켓 TAPTAP에서 절지구생
자극전장이라는 이름으로 OBT가 시작됐다. 발표 당시 내세웠던 전액 무료가 실현되어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으며, 한정적으로 시행되는 오픈베타인 만큼 플레이 스토어가 아닌 중국 마켓
TapTap에서 다운로드를 받아야 한다. 언어는 중국어밖에 없지만 설정이나 이벤트 페이지 사용의
어려움을 제외하면 플레이에 큰 지장은 없는 편이다. 또한 같은 타이틀인 '절지구생’을 달고
나온 절지구생 : 전군출격도 있으며 현재 넷마블에서 서비스 중인 펜타스톰으로 유명한 티미
스튜디오가 개발했다.
얼마 지나지 않은 2018년 3월 13일, 해외 플레이스토어 및 iOS 앱스토어에 글로벌 버전, 자극전장의
영어 버전이 PUBG Mobile이란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당시에는 서버가 아시아, 유럽, 북미,
남아메리카 4개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남아메리카 서버는 처음에 이용할 수 없었으나 4월 중 패치로
드디어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계속해서 2018년 4월 25일 오전 11시 티저 사이트에서 한글판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사전 예약이 시작되었는데 티저 사이트에서 사전 예약을 한 이용자들은 게임의
정식 출시 후 낙하산, BP, 상자 등을 제공받았다. 우리가 알고있는 게임은 5월에 출시된 셈.현재 최적화,
핵문제,업데이트 차이 등으로 인해 많은비판을 받고있다.
그러나 자극전장은 자국 심의에 걸린 상태라 수익 모델을 내놓을 수 없었다가 다음 해인
2019년 5월 8일에 전군출격과 함께 서비스 종료가 되었으며 곧이어 화평정영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냈는데 얼핏 일부 모드가 추가된걸 제외하면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중국 정부의
입맛대로 바뀐 탓인지 유혈 묘사와 타격감이 상당히 약해짐은 물론 상대방을 쓰러트릴시엔 캐릭터가
박스를 꺼낸 뒤 인사를 하며 사라지는 연출로 바뀌었다. 게임 흐름도 최후의 1인이 될때까지 싸우는
방식이 아닌 테러 진압으로 바뀐 만큼 최후의 5명이 선발될시엔 계속해서 경쟁할지 게임을 끝낼지
선택사항이 생겼다.
글로벌 배그 버전과 한국/일본 배그 버전으로 나누어져서 플레이 할수 있지만, 매칭은 똑같이
잡히며, 이벤트,스킨 등 여러가지 서비스가 다르다.
원활, 밸런스, HD, HDR 고화질, UHD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원활은 텍스쳐 품질이 낮고,
그림자가 꺼져있다. 보통 가장 깔끔하고 말그대로 플레이가 원활하기 때문에 원활 옵션을 많이
사용한다. 밸런스(중옵)은 그림자가 켜지지만, 캐릭터의 그림자가 나오지 않고, 텍스쳐 품질이
중간으로 설정된다. HD와 HDR 고화질은 상옵이다. HD 옵션부터 실시간 그림자를 지원한다.
HDR 옵션은 iPhone 11, 갤럭시 S20, LG V50등의 플래그십 최신사양 휴대폰의 HDR기능을
적용시켜준다. 색이 현실에 가깝게 훨씬 선명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가 HDR을
지원하지 않을경우 무용지물이다.그리고 1.0 업데이트를 통해 UHD가 오픈되면서 고화질이
추가되었다. 오픈은 되지 않았다.
슈팅게임의 생명줄. 기기 사양이 허락하는 한 화질을 줄이더라도 최대한 높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낮음, 중간, 높음, 울트라, 극한 , 90 fps 의 6가지가 제공되며, 각각 20 fps, 24 fps,
30 fps, 40 fps, 60 fps, 90 fps를 제공한다. 가변 프레임이기에 네트워크 상태, 폰의
계산한계에 의해 프레임이 일부 떨어질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술할 가변 해상도
옵션을 체크 해제하면 된다. 높은 프레임을 뽑으려 할 수록 발열이 심해지기 때문에 발열과
배터리 소모가 걱정된다면 프레임을 낮춰야 한다. 기기 사양에 따라 화질은 최소로 낮춰야
극한 옵션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갤럭시의 경우 엑시노스 9820을 사용하는 S10 시리즈가 아닌,
스냅드래곤 855를 사용하는 A90과 LG V50등 ,또는 애플의 경우 A12와 A13 이상의 칩셋을 사용한
아이폰,아이패드인 경우에는 HDR 고화질+극한 설정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리고 1.0 업데이트를
통해 90fps 옵션이 추가되었다.
가장 좋은 설정은 원할에 가능한 가장 높은 프레임을 사용하는것이다.
후처리 필터 효과를 설정한다. 클래식, 선명, 사실적, 부드러움, 영화[11] 5가지의 옵션을
제공한다. 클래식은 그야말로 노말, 평범한 상태이며 선명은 여기에 선명도를 상승시키는 옵션을
제공한다. 사실적 그래픽은 선명도를 극대화시킨 옵션이며, 부드러움은 오히려 고의적으로
선명도를 줄여 부드럽게 약화시킨 상태. 어느 것을 선택해도 성능에 큰 변화는 없어 취향에
따라 고르면 된다. 클래식이 아닌 필터를 적용할경우 레드 도트 사이트가 블러처리된거처럼
보이기도 한다. 깔끔한 조준점을 원하면 클래식을 설정하면 된다.
안티 에일리어싱
픽셀 사이의 직각이 진 부분이 부드럽게 완화된다. 발열과 배터리 소모의 원인이 되므로 저사양
기기는 꺼두는게 좋을 수도 있다.
이 게임에서 FPS 유지는 정말 중요하다. 허나 폰의 연산속도, 지나치게 높이 셋팅한 그래픽,
네트워크 상태등에 의해 FPS가 떨어질 경우 이 옵션을 키면 FPS가 떨어지는 대신, 게임의 해상도를
순간적으로 낮춘다. 물론 상황이 매우 안좋다면 이걸 켜고도 FPS가 줄을수 있으나, 안 키는것
보다는 낫다.따라서 웬만하면 키는 것이 좋다.
0.17.0 업데이트로 생긴 기능. 화면 설정에서 바꿀 수 있다.
각 모드를 적용하면 피 색, 발소리/총소리 표시 색, 자기장 색, 레드존 색 등이 바뀐다.
수면 반사 효과
물에 반사 효과가 생긴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려면 안티 앨리어싱을 꺼야 한다.
이런 그래픽 옵션의 한계는 개발사에서 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기기마다 다른데 이를 해제하여
그래픽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 우선 안드로이드는 GFX Tool, 아이폰은 iMazing 등의
패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덮어씌우는 형식으로 프레임 증가를 할수 있으나, 임의로
해제하여 설정하는 만큼 기기 수명이나 성능에 영향을 끼칠수 있기 때문에 차라리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기기를 타협하여 마련하는게 좋다.
전체적인 봇의 무장이며 대부분 어디선가 나타나서 주변을 맴돌고 있다.
이 게임에는 봇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타 게임들의 인공지능과 별 차이가 없는
편이며 자세한 특징은 아래와 같다.
낙하산으로 내려올 때 아무도 없었지만 아무데서나 나타난다. 그리고 분명히 탁 트인
개활지에서 시야에 없었는데, 조금만 가다가 돌아보면 마치 텔레포트해서 나타나는 듯
10-20미터 뒤에서 미친 듯이 따라오고 있다. 심지어 경기구역 밖에서 파밍 중이어도
어느새 와서 뛰어다니거나 총을 쏘고 있다. 이걸 봇으로 추정할 수 있는 이유는 그 거리에서
인간 플레이어라면 쏴죽이고도 남을 만큼 근접거리이기 때문. 더구나 무방비하게 뒤를 잡은
채 따라오던 상황인데도 쏘지 않는다.
봇은 낙하산으로도 내려오지만 대부분 스폰이 되기 때문에 내려오기도 전에 밑에
돌아다니는 경우도 있다.
나타나는 모습을 서술해보자면 플레이어의 반경 15~20m에 무작위로 랜덤 스폰되며 생성될 때는
공중 1m 정도 위치에서 사뿐하게 착지하며 스폰된다. 랜덤 스폰 방식이여서 그런지 아주
희귀하게 집 모델링 사이의 아주 미세한 공간에 스폰되어 끼이는 경우도 있다. 끼인 상태에서도
AI가 사람을 인식하고 쏘는 것을 보아 AI는 ESP를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듯하다. 또한 벽에
끼인 AI는 총은 쏘지만 벽에 막혀서 총소리만 들리고 플레이어 또한 벽 때문에 AI를 잡을 수
없다고 대부분 단발이나 점사로 끊어 쏘고 연사 기능을 활용하기도 하지만 명중률은 형편없다.
엄폐물은 커녕 풀숲이 아닌 개활지에서도 총에 맞으면 엎드린다.[15][16] 결정적으로 이
엎드리는것도 100m 이상의 거리가 아니라 10m거리에서 총을 맞췄는데도 갑자기 엎드리고
보는 경우도 있다.
이전에는 봇들이 희귀도가 낮은 옷들만 입고 있었지만 요즘에는 웬만한 플레이어들도 없는 레드
세트의 옷을 입고 다닌다. 그러나 패션 센스는 심히 괴상하다.인간과 인공지능의 차이.
단발사격 위주로 공격해 일반 유저에 비해 DPS가 많이 떨어진다.
총기 자체의 데미지가 굉장히 낮다. 일반 유저의 데미지의 1/10도 안 되는 수준. 단, 티어가
높아진다면 일반 유저들 수준의 데미지가 나오기도 한다.
차량을 타지 않고, 차량이 다가와도 피하긴 커녕 오히려 탑승하지 않은 유저 대하듯 달려오는
차 쪽으로 다가온다.
아이템 파밍을 따로 하지 않지만 가끔 피격된 뒤 도망가는 반응은 물론 초보자와 비슷한 행동
패턴을 보여준다.
봇의 닉네임을 검색하여 친구 추가하려고 하면 나오지 않는다.
플레이어에게 처음 몇방을 일부러 못맞추기도 하고, 분명히 봇이 Kar98k를 가지고있어 가만히
있는 플레이어에게 헤드샷을 맞추면 바로 죽일 수 있는 걸 굳이 권총으로 쏘는 등 일단 위치부터
알리고 본다. 심지어 아무도 없는 허공에다 총을 쏘기도 한다.
봇끼리 서로 싸우기도 한다. 발견하면 2킬을 공짜로 먹는거나 마찬가지.
랜덤성이 짙지만 게임 시작 시간 대비 아이템을 많이 보유하고 있고, 아무것도 파밍하지 않아도
생성된 시점에서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다.
점프를 절대 하지 않는다. 만약 유저가 파쿠르를 해서 넘어가면 쭉 돌아서 찾아오기도 한다.
주먹질은 절대 하지않는다
가끔 봇이 2등까지 살아남는 경우도 있다.
봇을 죽이면 플레이어를 죽이는 것보다 킬 점수를 낮게 준다.
건물 안에서의 발소리가 플레이어와 다르다.
봇 관련해서는 polygon 해외에서도 말이 많으며, Kotaku 기사 유튜브에 관련 영상을 찾아봐도
많이 나오는데 자극전장 버전 기준이지만 글로벌 버전에도 적용된다고 본다. 1, 2, 3, 4
봇을 넣은 이유로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그나마 맞아 떨어지는 명목은 클래식 인원 충당 및 진입
장벽 해소에 가까우며, 만약 봇을 보고 싶지 않다면, 아케이드도 괜찮은 선택이다. 물론
아케이드도 봇이 존재하긴 하나, 클래식 모드에 비해 매우 적은 데다 자기장이 좁아서 전투가
시시각각 벌어지는지라 좀 더 박진감 넘치는 전투를 즐길 수가 있다.
봇이 배치되는 수는 게임에 따라 제각각이며 봇이 한 두명 정도가 포착되는 경우가 있는 반면
20여명 넘게 봇이 포착되는 경우도 있으며, 당연하지만 높은 등급으로 올라갈수록 봇을 마주칠 일이 적다.
그리고 1.0.0 업데이트로 봇 데미지가 올라간것으로 보인다.
킬뎃을 올리고 싶다면 스폰되는 봇을 활용하면 좋다.
글로벌 버전 기준 2018년 4월 10일부터 에뮬레이터 사용시 "에뮬레이터가 감지됐습니다.
에뮬레이터 유저와만 매칭될 것입니다." 라는 경고문이 뜬다. 공정성을 위한 조치로 보인다
레딧 반응 한국버전은 2018년 06월 02일부터 에뮬레이터 사용시 "에뮬레이터를 사용한 게임
접속이 감지되었습니다. 개인 또는 파티는 에뮬레이터 플레이어와 매치됩니다."라는 TIP창이
뜬다. 여기서 에뮬레이터란 텐센트의 공식 에뮬레이터인 Tencent Gaming Buddy를 의미한다.
단 Tencent Gaming Buddy를 사용하여 들어갈 경우 글로벌 버전이나 중국 버전으로 들어가게
되며, 한국 버전의 계정은 연동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핑 차이가 많이 난다. 블루스택이나
녹스 플레이어는 레지스트리에서 사용 가능 램을 2기가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또한 텐센트
게이밍 버디 폴더를 백신으로 검사해보면 코인 마이너가 검출되므로, 내 컴퓨터 자원써서 남의
회사에 돈 먹여주고 싶은게 아니라면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주기적으로 해당 파일만
삭제할 필요가 있다.
네이버 카페 공지사항에 관련 글이 올라왔다. 스마트폰과 에뮬레이터가 듀오나 스쿼드를 맺고
게임을 돌릴 경우, 에뮬레이터 유저로 인식되어 에뮬레이터 경기에 매칭된다고 한다. 모바일에서
게임 중간에 나가고 에뮬레이터로 같은 계정으로 들어가는 경우 그 게임을 이어서 할 수 없게
되는 등 에뮬레이터에 대한 많은 대비를 했음을 볼 수 있다. 모바일 유저랑 에뮬레이터 유저는
따로 플레이 한다고 한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모바일 유저와 동일한 환경으로 게임하고 있어서
골머리를 썩는 중이다. 텐센트 게이밍 버디는 Gameloop, 즉 게임룹으로 변경되었다.
에뮬레이터 감지 우회 프로그램도 있으나, 테스트 결과 현재 WASD를 사용하면 정지당한다.
댓글